혼자쓰는 공부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혼자쓰는 공부일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3)
    • Java (13)
      • 이론설명 (13)
      • 문제풀이 (0)

검색 레이어

혼자쓰는 공부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Java

  • [자바] Java #12 타입 간의 변환방법

    2021.02.18 by HHHHHHHHHHHHH

  • [자바] Java #11 화면으로부터 입력받기

    2021.02.17 by HHHHHHHHHHHHH

  • [자바] Java #10 printf로 출력하기

    2021.02.16 by HHHHHHHHHHHHH

  • [자바] Java #09 두 변수의 값 바꾸기

    2021.02.15 by HHHHHHHHHHHHH

  • [자바]Java #08 문자열 결합

    2021.02.14 by HHHHHHHHHHHHH

  • [자바]Java#07 문자 리터럴과 문자열 리터럴

    2021.02.13 by HHHHHHHHHHHHH

  • [자바]Java#06 리터럴의 타입과 접미사

    2021.02.12 by HHHHHHHHHHHHH

  • [자바]Java#05 상수와 리터럴

    2021.02.11 by HHHHHHHHHHHHH

[자바] Java #12 타입 간의 변환방법

타입 간의 변환은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하므로 꼭 알아둬야 한다. 숫자를 문자로 변환 (char)(3+0) = '3' 문자를 숫자로 변환 '5'-'0' = 5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 5+"" = "5"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Integer.parseInt("6") = 6Double.parseDouble("3.14') = 3.14 문자열을 문자로 변환 "5". charAt(0)='5'문자를 문자열로 변환'3'+"" = "3"

Java/이론설명 2021. 2. 18. 21:59

[자바] Java #11 화면으로부터 입력받기

화면으로부터 입력받는 방법?? 음.. 문제를 풀면서 변수의 저장할 값을 미리 정해놓고 푸는 게 아니라 다 작성한 후에 입력받는 것이다. 이것 또한 잘 알아두는게 좋다. 처음엔 잘 외워지지도 않고 자꾸 틀리지만 역시나 많은 문제를 풀다보면 자동적으로 손이 타다다닥 적어가고 있다..ㅜㅜ 제일 먼저 import문이라는 걸 써줘야 하는데 사실 이게 뭔지 왜 쓰는 건지는 지금은 알 필요 없다. 화면으로부터 입력받고 싶을 때 Scanner 쓰고 엔터 치면 자동생성된다. 자동생성이 안되어있을 경우: Ctrl+Shift+o를 누르면 생성된다. 그다음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이렇게 작성하면 스캐너라는 객체를 생성하게 된 것이다. 주의할 점은 sc 빼고 모든 S가 대문자! Str..

Java/이론설명 2021. 2. 17. 21:33

[자바] Java #10 printf로 출력하기

printf()는 지시자(specifier)를 통해 수의 값을 여러 가지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출력할때는 println()을 사용해왔는데, 사용하기엔 제일 편하지만 값을 변환하지 않고 다른 형식으로는 출력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출력하거나 정수를 16진수나 8진수로 출력하고 싶을 때는 printf()를 사용하면 된다. printf()로 출력할때는 항상 지시자를 사용해야 한다.지시자 또한 타입마다 달라서 유의해야 한다. 지시자 설명 %d 10진수 정수의 형식으로 출력 %x 16진수 정수의 형식으로 출력 %f 소수점의 형식으로 출력(실수) %c 문자(char타입)로 출력 %s 문자열(string)로 출력 %b boolean %o 8진수 정수의 형식..

Java/이론설명 2021. 2. 16. 21:46

[자바] Java #09 두 변수의 값 바꾸기

두 변수 a와 b에 저장된 값을 바꾸려면? int a = 5; int b = 10; a의 값을 b에 저장하고, b의 값을 a에 저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쉽게 생각하려면 일상생활에서 예를 찾아보자. 한 컵에 우유가 있고, 다른 컵에 주스가 있으면 둘의 내용물을 바꿀 때 어떻게 해야 할까? 다른 컵을 가져와서 우유를 따르고 우유 컵에 주스를 따르고 주스에 우유를 따르면!! 우유 컵엔 주스, 주스컵엔 우유가 있다. 이와 같이 다른 변수를 불러와서 옮기면 된다. 아 위처럼 값을 바꾸는 문제는 뒤에서 응용이 많이 나오니까 익혀두는 것이 좋다!

Java/이론설명 2021. 2. 15. 17:41

[자바]Java #08 문자열 결합

문자열 결합이란? 덧셈을 숫자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문자열+문자열=문자열 문자열+숫자=문자열 숫자+문자열=문자열 어느 한쪽이라도 문자열이면 문자열이 아니더라고 문자열로 변환한 다음 두 문자열을 결합한다. 그러니까 문자열+문자열=문자열 문자열+숫자=문자열 여기서 숫자가 문자열로 변환이 되고 결국 두 문자열을 결합하는 것이 된다.

Java/이론설명 2021. 2. 14. 23:06

[자바]Java#07 문자 리터럴과 문자열 리터럴

문자 리터럴:작은따옴표로 문자 하나를 감싼 것. 'a' 문자열 리터럴:큰 따옴표로 문자열을 감싼 것. "abcdef" 문자열:문자의 연속된 나열(string). char 타입의 변수는 단 하나의 문자만 저장할 수 있다. 문자열을 저장하려면 String 타입의 변수를 이용해야 한다. 문자열 리터럴 그러니까 String 타입의 변수는 큰 따옴표안에 아무런 문자를 넣지 않아도 되지만, char 타입의 변수는 아무런 문자를 넣지 않으면 에러가 난다. 하지만 공백은 허용한다.

Java/이론설명 2021. 2. 13. 23:24

[자바]Java#06 리터럴의 타입과 접미사

변수에 타입이 있는 것처럼 리터럴에도 타입이 있다. 정수형의 long,실수형의 float, double 외에 2진수, 8진수, 16진수를 표시할 때는 접수사를 붙여야 한다. long big = 100_000_000_000L; //정수형 리터럴 중간에 _를 사용해 큰 숫자를 편하게 읽을 수 있다. 그리고 접미사 L 또는 l을 붙여줘야 되는데 소문자 ㅣ은 숫자와 헷갈릴 수 있으므로 대문자 L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float pi = 3.14f; //접미사 f대신 F를 사용할 수 있다. 생략 불가double rate = 1.618d; //접미사 d대신 D를 사용할 수 있다. 정수형에서 int가 기본형인 것처럼 실수형은 double이 기본형이라 접미사를 생략할 수 있다.int binNum = 0b0101; //..

Java/이론설명 2021. 2. 12. 22:30

[자바]Java#05 상수와 리터럴

상수란? 상수(constant)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는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선언 방법은 변수와 동일하고, 변수의 타입 앞에 'final'만 붙여주면 된다. 리터럴이란? 우리가 원래 알고 있던 상수의 의미가 리터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을 상수라고 한다. 상수와 의미가 같은데 리터럴이라고 정의한 이유는 프로그래밍에서 상수의 의미를 위와 같이 정의했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용어를 어려워하는데 전혀 어려워할 이유가 없다. 변수(variable)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공간.(변경 가능) 상수(constant) 값을 한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변경 불가능) 리터럴(literal) 그 자체로 값을 의미..

Java/이론설명 2021. 2. 11. 22:45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혼자쓰는 공부일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