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쓰는 공부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혼자쓰는 공부일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3)
    • Java (13)
      • 이론설명 (13)
      • 문제풀이 (0)

검색 레이어

혼자쓰는 공부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JAVA기초

  • [자바]Java#05 상수와 리터럴

    2021.02.11 by HHHHHHHHHHHHH

  • [자바]Java#03 변수의 선언과 저장

    2021.02.10 by HHHHHHHHHHHHH

[자바]Java#05 상수와 리터럴

상수란? 상수(constant)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는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선언 방법은 변수와 동일하고, 변수의 타입 앞에 'final'만 붙여주면 된다. 리터럴이란? 우리가 원래 알고 있던 상수의 의미가 리터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을 상수라고 한다. 상수와 의미가 같은데 리터럴이라고 정의한 이유는 프로그래밍에서 상수의 의미를 위와 같이 정의했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용어를 어려워하는데 전혀 어려워할 이유가 없다. 변수(variable)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공간.(변경 가능) 상수(constant) 값을 한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변경 불가능) 리터럴(literal) 그 자체로 값을 의미..

Java/이론설명 2021. 2. 11. 22:45

[자바]Java#03 변수의 선언과 저장

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다. 이렇게 정의하면 어려워 보이지만 하나도 어렵지 않다. 아직까지는..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값을 저장해 둘 공간이 무수히 많이 필요하다. 그 저장해 둘 공간을 '변수(variable)'라고 한다. 변수가 필요하면 우선 변수를 선언한 다음 변수에 값을 저장해야 한다. 선언하는 방법은 변수 타입 변수 이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선언할 수 있다. 변수의 타입은 일반적으로 변수에 저장할 값이 어떤 종류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저장될 값이 정수라면 변수 타입은 Integer의 약자인 int가 될 것이다. int x;이렇게 선언을 하게 되면 x라는 저장공간이 생기고, 그 공간에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int x ; x=5; 이렇게 명령문이 쓰여있으면 정..

Java/이론설명 2021. 2. 10. 01:02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혼자쓰는 공부일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